라니의 기웃기웃

경제교육사이트, 어린이 청소년 일반인 본문

꿀팁.잡담

경제교육사이트, 어린이 청소년 일반인

뮬라니 2017. 9. 13. 23:59
 경제교육사이트, 어린이 청소년 일반인에 도움이 되는 사이트 알아볼께요~!


절약을 하는 습관이 온몸에 푹 배어서 태어난다면 참 좋겠지만요. 우린 소비하는 낙으로 하루하루를 즐겁게 보내는 허약한 의지력의 주인공들이기에 ㅋ, 후세세들에게는 조금 더 어릴때부터 절약하는 습관을 길러주면 넘나 좋겠지요.
하지만 어떻게 체계적으로 아이들에게 가르쳐 줄 수 있을까. 더 좋은 방법은 없을까. 궁금해할 분들 많이 계실 텐데요. 있습니다. 자녀 뿐 아니라 청소년, 어른들도 무료로 경제관념 확실히 교육받을 수 있는 교육사이트인데요. 바로 한국은행 경제사이트입니다(http://www.bokeducation.or.kr).

모바일홈페이지(http://m.bokeducation.or.kr)에 접속하면 모바일 버전으로 이렇게 화면이 나와요. 어린이 경제마을, 청소년경제나라, 대학생/일반인 경제세계 세 파트로 나누어 볼 수 있어요.

홈화면에서 어린이, 청소년, 일반인을 선택해서 세부사항을 들어갈 수 있고요. 알기 원하는 경제용어를 키워드 검색으로 찾아볼 수도 있어요. 그리고 맨 하단에 오늘의 경제용어라고 나와있는데요. 홈피만 매일 접속해도 경제박사가 되는 것 같은 기분이 들겠네요.

세부항목들은 이렇게 있었습니다. 전체적으로 한번 훑어볼 수 있었구요. 우선 어린이 경제마을을 클릭해 봤어요.


1.어린이 경제마을

세부항목으로 보이는 것들을 살펴봐도 얼마나 알기 쉽게 되어 있는지가 보이지요. 21일간의 경제여행이라는 컨텐츠를 클릭해서 어린이들이 알아야할 가장 기본적인 경제개념을 익혀보도록 해도 경제관념이 설 것 같으네요.

컨텐츠를 잠깐 살펴보니까요. 이건 어린이 단어가 아니네요. 단어는 아주 어려워 보이는데요. 일단 조금 쉬워보이는 주제로 들어가보면 될 것 같아서요 '7. 저축은 왜 해야 하나요?' 학습하기를 클릭하고 들어가 보니까요.  

이런 설명들이 나오네요. 기회비용의 설명이 나와서 전 좀 놀랐는데요. 원래 이 정도 설명은 어린이들에게 해 주어야 했던 거였던 거였나요.. 설명의 수준으로 봐서는 예비초등이나 초등 저학년은 조금 어렵지 않을까 싶어요. 그 이상은 무난할 것 같아요. 엄마의 부가설명이 조금 있다면 좋겠지요.


2. 청소년 경제나라

청소년의 수준으로 경제를 이해하도록 어떻게 구성했을까 궁금했는데요. 청소년 경제마을을 클릭해 보았어요. 개괄적인 설명이 있을 것 같은 '경제이야기 따라잡기'를 클릭해 보았어요.

전반적인 이해를 하기에 좋을 것 같은 컨텐츠가 펼쳐졌습니다. 사진에선 누락되었는데요. 중학생과 고등학생 파트가 나뉘어져 있어서 그 중 선택해서 학습할 수 있어요.

금융경제교실 파트를 클릭해보니 설명하기도 이해하기도 딱 좋게 정리가 되어 있었어요. 이 파트도 한번에 하나씩 설명하는 시간을 가지면 좋을 듯해요. 


3. 대학생/일반인 경제세계

경제분야의 지식이 많이 없는 저 같은 사람들은 얼마나 어려운 주제가 다뤄질지 살짝 긴장되는 파트였는데요. 분명 한국말인데 입력이 전혀 안 되는 어떤 그런 순간이 오겠지요. 떨면서 클릭해 보았는데요.

경제칼럼부터 알기쉬운 경제이야기까지 다양하게 있고요. 다행히 전문강좌 파트가 있었습니다. 전문인들이 아니면 절대 건들지 않을 파트가 따로 있어 다행입니다. ㅋ 이것저것 눌러보다 보니 제일 접근하기 좋은 파트는 경제생활도우미였어요.

알면 도움이 되는 금융상식부터해서 빚에 대해, 신용관리에 대해 알아야 할 것들을 간명하게 정리한 게 딱 이해하기 좋았어요. 물론 경제에 조예가 깊으신 분들은 훨씬 방대한 지식들을 얻어가시겠지만요.

동영상의 쌤이 직접 한 수 가르쳐 주시는 게 교육방송 듣고 공부하던 때가 생각나네요. 학습목표까지 ㅋㅋ 재밌게 들을 수 있습니다.

혹시 실수로 기타전문강좌를 누르셨다면 보실 수 있는 화면입니다.;; 빅 데이터 등 먼가 많이 들어본 내용이 나오는데요. 이해하기에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한 듯 하네요.

이렇게 경제교육사이트, 어린이 청소년 일반인 정리해 보았어요~!

♡♡♡


'꿀팁.잡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연비절약운전법  (0) 2017.09.15
대학생 절약 노하우  (0) 2017.09.14
수도요금고지서 숫자 낮추는 6가지 방법  (0) 2017.09.12
백화점마트 추석휴무일(예정일)  (0) 2017.09.11
9월,10월 카드사 등 이벤트  (0) 2017.09.10
Comments